Guitar Picks of Nuno 단지 피크에 불과하지만 달인이 애용하는 피크는 무엇일까? 피크로 말하자면 그 형상과 단단함,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지만 핵심은 그립감이다, 기타줄을 튕길 때의 뉘앙스로 결정된다 등등 기타리스트에 따라 천차만별이다. 그리고 컬러링을 포함한 디자인도 개성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. 그럼 달인 누노가 사용하는 피크에도 지금까지 우여곡절이 있었을까? 그럼에도 착지점을 찾은 듯 하다. 1991년 내일(來日) 시 화이트, 핑크, 블랙 등 3종류로 로고 마크와 누노의 이름이 아직은 사인이 아닌 알파벳으로 인쇄되어 있다. 1993년 내일(來日) 시 위: 마이크 스탠드에 세트된 피크. 재질은 셀룰로이드로 『Ⅲ SIDES TO EVERY STORY』의 로고가 프린트 되어 있다. 뒤에는 ..
(*모바일에서는 편집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. PC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) 앰프는 3대 나열된 HUGHES&KETTNER "TRIAMP" 중 중앙의 1대만 사용. 캐비넷도 실제 사용되는 것은 중앙의 마샬뿐이다. 사진 1-2, 1-3: 메인 H&K "TRIAMP"와 뒷면. 노란색 테이프에 "MAIN"이라고 적혀있고, 알아보기 쉽도록 그림의 중앙이 까맣게 칠해져 있다. 사진 2-1, 2-2: 위의 마샬 "JMP"는 백업용(아래는 그 뒷면). 랙 안에는 CAE의 믹서 등이 수납되어 있다. 발 밑에는 앰프 전환 스위치, ADA "FLANGER", BOSS "GT-3", "GE-7", MXR "phase 90" 등이 놓여져 있다. 헤드부도 마찬가지로 좌우로 분할된 컬러링이 임팩트 강한 스피커 캐비넷. 왼쪽 ..
(*모바일에서는 편집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. PC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) 사진 1, 2: 누노가 솔로로서 일본을 찾았던 '97년에 메인 기타는 이때껏 사용해왔던 N4에서 P4(중간 오른쪽 사진)로 바뀌었다. 그리고 앰프 시스템에도 변화가 있었는데, 사진 1은 독일제 HUGHES&KETTNER의 하이 게인 앰프, "TRIAMP"와 마샬 캐비넷. 3ch의 완전 독립적인 세팅이 가능하며 출력은 100W, 물론 올 튜브. 누노는 위의 헤드를 사용. 사진 2는 앰프 헤드의 뒷면. 사진 3: 발 밑에는 앰프의 채널 전환 스위치, MXR의 "phase90", Digitech의 와미페달 "XP-100"로만 세팅되어 심플. 사진 4: 앰프 뒤에 세트된 이펙터는 BOSS의 이퀄라이저 "GE-7", BOSS의 옥타버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Nuno Bettencourt
- 워시번
- extreme six
- garycherone
- dramagods
- 누노베텐코트
- 드라마갓스
- nunobettencourt
- early extreme
- nuno
- youngguitar
- 모닝위도우스
- Guitar
- 뮤직비디오
- population1
- 움짤
- 누노
- 파퓰레이션원
- extreme band
- extreme lyrics
- 인터뷰
- 누노베텐커트
- mourningwidows
- N4
- extreme
- Washburn
- 익스트림
- 기타
- extreme live
- six lyric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30 | 31 |